전체 글
-
[ JSP ] What is Servlet??다양한 공부/JSP 2024. 2. 27. 14:45
https://mangkyu.tistory.com/14 [JSP] 서블릿(Servlet)이란? 1. Servlet(서블릿) 서블릿을 한 줄로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간단히 말해서, mangkyu.tistory.com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오라클 공식문서에서 한번 보자 Defines methods that all servlets must implement. A servlet is a small Java program that runs within a Web server. Servlets receive and respond to requests from We..
-
개념정리 : What is Garbage Collection in Java?다양한 공부/면접대비 2024. 1. 19. 19:19
Garbage Collection이란 영어 그대로 해석하면 쓰레기 수집기이다. Garbage collection의 더 이상 필요 없거나 사용되지 않는 코드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프로세스다. 이를 통해 메모리 공간을 자동으로 확보하고 개발자들이 더 쉽게 Java 애플리케이션을 코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Garbage collection이 java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다. 마킹(Marking) : 이 단계에서는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 GC)가 현재 사용 중인 객체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구별하여 사용 중인 객체는 계속 메모리에 유지되고 사용되지 않는 객체는 제거 대상이 된다! >> 보충 설명 가비지 컬렉션의 마킹 단계에서는 가비지 컬렉터가 힙 메모리를 ..
-
JVM(Java Virtual Machine) 핵심만 딱딱다양한 공부/Java 2024. 1. 11. 01:41
1. JVM 정의 및 목적 정의: JVM(Java Virtual Machine)은 자바 바이트 코드(.class 파일)를 실행할 수 있는 런타임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머신입니다. 목적: JVM은 자바 프로그램이 다양한 하드웨어와 운영 체제 상에서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자바의 핵심 원칙인 '한 번 작성하면 어디서나 실행(Write Once, Run Anywhere - WORA)'을 실현합니다. 2. JVM의 주요 구성 요소 클래스 로더 시스템: 자바 클래스(.class 파일)를 런타임 시 동적으로 로딩, 링크, 초기화합니다. 런타임 데이터 영역: 메소드 영역, 힙, 스택, PC 레지스터,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 타입, 인스턴스, 메소드 정보 등을 저장합니다...
-
Spring 개발 과정중 오류( view.jsp에서의 간단한 고침)개발중 오류 정리 2024. 1. 10. 02:26
물론 오류 잡느라 너무 행복했네요 ㅎㅎ 성장과정의 발판! 나같은 사람들 있으면 안되니까 오류 해결한 것 블로그에 남깁니당 ${reply.writer} / ${reply.regDate} ${reply.content} jstl을 사용해서 반복문으로 reply에 데이터를 받아와서 뿌려주는 간단한 코드였는데, HTTP 상태 500 – 내부 서버 오류 타입 예외 보고 메시지 행 [79]에서 [/WEB-INF/views/board/view.jsp]을(를) 처리하는 중 예외 발생 설명 서버가, 해당 요청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하는 예기치 않은 조건을 맞닥뜨렸습니다. 예외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행 [79]에서 [/WEB-INF/views/board/view.jsp]을(를) 처리하..
-
면접 예상 질문 및 답변 (24.02.01 , 업데이트 중...)다양한 공부/면접대비 2024. 1. 6. 21:55
🤔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DI와 LOC가 뭔가요? >> DI란 “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입니다.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생성하여 주입을 하는 방식입니다. 의존성 주입을 통해서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loc란(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입니다. 말 그대로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작업을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제어의 흐름을 바꾼다고 할 수 있습니다. Loc를 통해서 객체의 의존성을 역전시켜 객체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하여 가독성 및 코드 중복, 유지 보수를 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
-
FROM DUAL의 의미와 활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특별한 쿼리다양한 공부/DATABASE 2024. 1. 4. 03:55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쿼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FROM DUAL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FROM DUA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FROM DUAL은 주로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쿼리 구문입니다. 이는 실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아닌 가상 테이블로, 주로 SELECT 문에서 더미 테이블로 활용됩니다. 그렇다면 FROM DUAL이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언제 사용되는가? 값이 없는 SELECT 문에서: SELECT 'Hello, World!' AS greeting FROM DUAL WHERE 1 = 0; -- 결과: (no rows selected) 조건이 만족되지 않아도 FROM DUAL을 사용하여 빈 값을 반..
-
<c:if> 태그란 무엇인가?다양한 공부/JSP 2023. 12. 31. 06:36
태그는 JSTL( Java Pages Standard Tag Library ) 안에 있는 태그이다. 먼저 간략하게 JSTL 이란, JSP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이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Java EE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을 위한 컴포넌트 모음이다. JSTL은 JSP 페이지 내에서 자바 코드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로직을 내장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화된 태그 셋을 사용하여 자바 코드가 들락거리는 것보다 더 코드의 유지보수와 응용 소프트웨어 코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관심사의 분리로 이어지게 한다. 라고 나와있다.(아주 잘 나와 있군요!) 필자가 생각했을 때 왜 사용하냐!? 일단 Jsp 내에서 자바코드와 섞이며 개발을 하게 되면, 스파게티 코드가 될 수 있다. 자바코드를 사용하지 ..